Abstract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competency in forensic nursing among operating room nurses at university hospitals.
-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64 operating room nurses employed at university hospit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SPSS version 23.0, using th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post-hoc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Results
Professional self-concep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orensic nursing competency (r=.60, p<.001). The following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forensic nursing competency among operating room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β=.69, p<.001), total career lengths of <5 years (β=.21, p=.006) and 5-9 years (β=.20, p=.011), and job characteristics (β=.19, p=.007). A three-step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29.74, p<.001)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41.4%.
-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professional self-concept, total career years, and job characteristics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perating room nurses' forensic nursing competenc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characteristics.
-
주요어: 수술실,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 역량, 법의간호
-
Key Words: Operating rooms; Job characteristic; Professional self-concept; Competency; Forensic nursing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사회는 급속한 발전과 함께 교통사고 및 범죄와 관련된 외상성 사건·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외상 환자는 응급실을 통해 내원하여 긴급하게 수술실로 이송되는 경우가 많아서 중요한 법정증거를 인지할 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한다. 법적인 문제를 지닌 외상 환자의 간호와 치료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에 법의간호 역량이 부족한 의료진은 때때로 환자들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경우가 있다[
1,
2].
응급실 내원 환자의 수술 건수가 2016년 68,609건에서 2017년 76,330건, 2018년 79,597건, 2019년 80,429건으로 해마다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3]. 수술실은 정규수술 외에도 교통사고, 상해 등과 관련된 외상 환자를 다루는 특수부서로, 외상 사건과 관련하여 법적 조사를 받아야 하는 수술 환자의 경우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외상의 유형은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된다[
4].
수술실 간호사는 외상 환자를 대면하는 의료인으로, 중증 외상 환자의 경우 다발성 외상 환자가 대부분이고 복합적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서 생명 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처치와 손상 부위 사정, 처치 및 간호 활동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5]. 구체적으로 외상 사건과 관련되어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오는 환자는 범죄의 희생자뿐만 아니라, 잠재적 피기소인이거나 유죄를 선고받은 사람일 수도 있다[
6]. 이때, 수술 전 사건·사고와 관련된 외상 환자를 평가하고 증거 자료를 수집 및 보관하기 위해서는 법의간호 역량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6,
7].
법의간호학은 법 집행 분야와 임상간호학적 경험이 결합된 법과학 분야이며, 법의간호 역량은 의료 및 법적 논쟁과 관련된 사망을 비롯하여 외상의 치료와 예방, 과학적인 조사, 증거수집과 보존, 분석 등과 관련된 업무수행을 해낼 수 있는 힘을 말한다[
8]. 외상 환자로부터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주요한 법정증거를 인지하지 못하고 간과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9]. 또한, 법적인 문제와 관련된 외상 사건의 경우 증거가 오염되어 포장되거나 수집 과정에서 증거 연계성이 끊어지면 그 중요성이 변할 수 있다. 특히, 시간이 경과하면서 유실 또는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생물학적 증거물 관리는 응급수술이라는 긴급한 상황 속에서 수술실 간호사가 법의학에 관한 지식이 없거나 법의간호 역량이 부족하면 놓치기 쉬우므로, 증거물을 잘못 취급하여 이로 인해 환자에게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주게 된다[
1]. 즉, 법의간호 역량은 단순하게 법적 대처라는 차원을 넘어서 간호역할의 전문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는 환자에게 질적으로 높은 간호를 제공하여 간호의 본질을 실현하는 필수적 요구사항이다[
9].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는 사건·사고와 관련된 외상 수술 환자에 대하여 전반적인 외상 형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간호기록을 작성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법의간호학적 증거 연계성의 원칙을 유지한 채 신속하고 정확한 신체 사정 및 의학적 치료를 해야 한다[
4]. 이를 위해 외상을 다루는 간호사들은 법적인 증거자료를 수집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실무에서 필수적인 법의간호학적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전문가적인 태도를 갖추기 위해 법의간호 역량이 필요하다[
10].
직무 특성은 직무의 객관적 특성을 뜻하는 것으로[
11], 이 특성을 통해 직무수행자들은 내적 직무 동기가 유발되고 직무 만족이 증가하면서 직무 성과가 높게 나타난다[
12]. 수술실 간호업무는 타 간호 영역과는 달리 수술실 간호사가 수행해야 하는 목적에 따라 특성이 확연하게 구분되어 있으며, 직무 특성상 수술 상황에 대해 몰입되어 간호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이때,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간호사는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수행 결과 및 의미성을 알 수 있고 업무의 만족도와 질이 향상되어 업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 성과는 수술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영역이다[
13]. 따라서 사건·사고와 관련이 있는 외상 환자에 대한 수술 간호의 직무 특성을 잘 파악한 수술실 간호사가 잠재적 범죄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법의간호 역량도 높은지에 대해 탐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과 법의간호 역량과의 관계에 관한 국내 선행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과 법의간호 역량과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사가 전문 직업인으로서 자신의 업무와 자신에 대한 주관적 느낌과 견해를 말하는 것으로, 자신의 직업적 지식, 기술 및 가치에 대한 정신적 지각이다[
14]. 수술실 간호사는 간호사의 독립된 행동이 아닌 의료진과 한 팀을 이루어서 수술 환자가 마취와 수술, 회복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안전하게 수술을 받도록 간호행위를 제공해야 한다. 수술의 원만한 진행과 함께 정확한 기록을 남기고 수술 절차를 따라야 하는 책임이 있으며,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양질의 수술 간호를 수행해야 한다[
5]. 높은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진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실의 특정한 외과적 절차와 개별 수술 환자의 독특한 요구에 따라 능숙하게 전문적인 간호 실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다양한 의료진과 조화를 이루어 수술실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이끌어낸다[
15]. 이처럼 수술실 간호사의 높은 전문직 자아개념은 다양한 의료인력과 다학제적 업무를 수행하는 법의간호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직 자아개념과 법의간호 역량의 관계에 대한 국내외 선행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다만, 간호대학생의 법의간호 역량과 전문직 가치인식에 대한 연구에서 법의간호 역량이 높은 간호대학생이 간호전문직 가치를 더 높게 인식하였다[
16].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법의간호 역량 정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법의간호 역량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로, 법의학적 증거수집시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1,
4],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필요성과 요구도 정도 조사[
17], 응급실에서 법의간호학적 역할 인식[
18], 응급실에서 법의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술[
19],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수행 시 역할 갈등[
20],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인식, 임상경력 및 법의간호 수행능력 간의 관계[
21]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반면,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법의간호학적 업무와 관련된 선행 연구는 제한적이다. 그 예로, 의사와 간호사의 법의학적 환자 사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에서 대부분의 의사와 간호사는 본인의 증거보존과 수집에 대한 법의학적 지식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22]. 최근에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법의학적 환자사례 경험과 지식정도를 조사한 연구에서도 법의학 관련 교육과 임상 경험 부족이 보고되었다[
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이라는 특수한 의료 환경을 고려하여 직무 특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주요 변수로 정하여 법의간호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을 높이기 위한 중재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학문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과 법의간호 역량의 관계를 알아보고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 법의간호 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4곳의 수술실에서 근무한 지 1년을 경과하고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간호사로 하였고, 수술실 경력 1년 미만의 간호사는 제외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3.1.9.7 program (Heinrich-Heine-Universität Düsseldorf)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 유의수준 .05, 중간 효과크기 .15, 검정력 .90, 일반적 특성 10개와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을 포함한 예측요인 12개로 산정할 때 필요한 표본 수는 157명이 산출되었으나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 기간 내에 176부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그 중 불충분한 답변으로 인한 12부를 제외하고 총 164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3. 연구 도구
1) 직무 특성
직무 특성은 Hackman과 Oldham [
11]이 개발한 도구를 Oh와 Choi [
24]가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15문항이며, 5개의 하부영역으로 직무 정체성 3문항, 기술 다양성 3문항, 직무 자율성 3문항, 직무 중요성 3문항, 피드백 3문항이며, 5점 Likert 척도로 2번, 13번은 부정문항으로 역채점되었다. 본 연구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가 각 직무 특성의 정도를 강하게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Oh와 Choi의 연구[
24]에서는 Cronbach’s α=.81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79이었고, 각 하위영역에서 신뢰도는 기술다양성 Cronbach’s α=.07, 직무정체성 Cronbach’s α=.60, 직무중요성 Cronbach’s α=.77, 직무자율성 Cronbach’s α=.75, 피드백 Cronbach’s α=.67이었다. 이 중 기술 다양성 Cronbach’s α=.07로, 통상적으로 .70 이상을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보는 기준[
25]에 미치지 못하여 기술다양성 3문항을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시 제외하였다. 기술다양성 3문항을 제외한 후의 Cronbach’s α=.81로 증가하였다.
2)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자아개념은 Arthur [
14]가 개발한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 도구(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PSCNI)를 Lim [
26]이 수술실 간호사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27문항이며, 3개의 하위영역으로 전문적 실무 16문항, 의사소통 4문항, 만족감 7문항이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부정문항인 9번, 13번, 18번, 23번, 25번은 역채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Lim의 연구[
26]에서 Cronbach’s α=.82였다.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6이었고, 각 하위영역에서 신뢰도는 전문적 실무 Cronbach’s α=.88, 만족감 Cronbach’s α=.86, 의사소통 Cronbach’s α=.79였다.
3) 법의간호 역량
법의간호 역량은 Jo 등[
6]이 개발한 국내 간호사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법의간호 역량 측정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53문항이며, 8개의 하부영역으로 간호실무(사정, 진단 및 계획, 수행) 13문항, 정보전달(증거기록, 증거보존) 10문항, 비판적 사고(의사결정) 3문항, 돌봄 및 관계(협력, 윤리, 증언 및 상담) 9문항, 증거관리(증거수집) 4문항, 능동적 정보수집(사건정보 수집) 3문항, 전문성 개발(연구, 법정실무, 교육) 7문항, 지식통합(통합적 지식)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법의간호 역량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Jo 등[
6]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6이었다. 본 연구의 Cronbach’s α=.92였고 각 하위영역에서 신뢰도는 간호실무 Cronbach’s α=.93, 정보전달 Cronbach’s α=.93, 비판적 사고 Cronbach’s α=.86, 돌봄 및 관계 Cronbach’s α=.89, 증거관리 Cronbach’s α=.86, 능동적 정보수집 Cronbach’s α=.79, 전문성 개발 Cronbach’s α=.90, 지식통합 Cronbach’s α=.88이었다.
4.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2년 4월 11일부터 4월 22일까지 대구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4곳의 병원 간호부에 직접 방문 또는 전화하여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고 허락받은 후 실시하였다. 기관장의 승인 후 모집 공고문을 각 병원의 수술실 스테이션 게시판과 온라인 병원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설문 조사 URL 링크를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온라인 설문 조사의 첫 화면에서 연구 목적과 설문 응답 방법, 자료의 활용 등에 대하여 안내하였고 이에 동의한 경우에만 설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온라인 설문 작성에는 2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연구응답을 완료한 대상자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sio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과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 법의간호 역량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 법의간호 역량 정도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다.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과 법의간호 역량 정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법의간호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연구계획과 연구 대상자의 존엄성, 권리, 안녕 등의 문제에 대하여 경북대학교의 기관 생명윤리 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KNU-2022-0067). 대상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수술실 간호사에게 연구의 전 과정에서 참여자는 익명이 보장됨을 설명하였고, 설문에 참여하기 전 연구의 목적과 연구 과정에 관한 내용을 제공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 설문 작성 중에 대상자가 원할 시에는 어느 때라도 철회할 수 있고, 어떠한 불이익도 없이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기존에 수집된 모든 자료는 즉시 파기되어 연구 대상자에서 제외됨을 설명하였다. 대상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보관될 것이며, 그 후 관련 법규에 따라 폐기할 것임을 안내하였다.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성이 92.1% (151명)이었고 연령은 30~39세가 43.9% (72명)이었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61.0% (100명)이었고 종교가 없는 경우가 59.1% (97명)로 나타났다. 학력은 일반학사가 75.0% (123명)였고, 임상경력은 5~9년이 46.3% (76명)였으며,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87.8% (144명)로 대다수였다. 수술실 근무 만족도에 대해서는 만족이 47.0% (77명)였으며,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에 대한 인식도는 ‘조금 알고 있다’가 75.6% (124명)로 가장 많았다. 법의학 또는 법의간호학 교육 여부로는 ‘아니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87.2% (143명)로, 대부분 교육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Table 1).
2.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과 법의간호 역량의 정도
직무 특성의 평균은 3.58±0.47점으로, 직무 중요성 3.94±0.72점, 피드백 3.81±0.64점, 직무 정체성 3.42±0.56점, 직무 자율성 3.34±0.79점, 기술 다양성 3.39±0.59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평균은 3.04±0.31점으로, 의사소통 3.14±0.51점, 만족감 3.00±0.49점, 전문적 실무 2.88±0.43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법의간호 역량의 평균은 3.16±0.52점으로, 능동적 정보수집 3.32±0.58점, 돌봄 및 관계 3.31±0.52점, 증거관리 3.24±0.65점, 비판적 사고 3.20±0.69점, 정보전달 3.16±0.61점, 전문성 개발 3.07±0.68점, 간호실무 3.05±0.61점, 지식통합 2.90±0.7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2).
3. 수술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 법의간호 역량의 차이
직무 특성은 수술실 근무에 대한 만족도(F=4.03, p=.020),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에 대한 인식도(F=3.69, p=.02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술실 근무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사후검정 결과에서는 만족이 직무 특성이 가장 높았으며, 불만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정확히 알고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직무 특성이 가장 높았으며, “약간 알고 있다.” “전혀 모른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에 대한 인식도(F=7.00,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법의간호학 또는 법의간호사에 대한 인식도에 따른 사후검정 결과에서는 "정확히 알고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약간 알고 있다." "전혀 모른다."라고 응답한 대상자보다 전문직 자아개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의간호 역량은 임상경력(F=4.07,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경력에서는 ‘5년 미만,’ ‘5~9년,’ ‘10년 이상’의 순으로 법의간호 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에서는 5년 미만, 5~9년의 대상자의 법의간호 역량이 10년 이상 대상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4.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과 법의간호 역량 간의 상관관계
직무 특성은 전문직 자아개념(r=.4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법의간호 역량(r=.6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5.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법의간호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공선성 분석결과 분산팽창요인은 1.333에서 1.617로 모두 10 이하였으며 공차 한계는 0.618에서 0.750으로 0.1 이상으로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Durbin-Waston 통계량을 구한 결과 1.887으로 기준값인 2에 근접하고 0 또는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 간에 상관관계가 없어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7].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며(F=29.74,
p<.001), 회귀식에 대한 adjusted R
2이 .414로 41.4%의 설명력을 보였다. 분석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β=.69,
p<.001), 임상경력 5년 미만(β=.21,
p=.006), 임상경력 5~9년(β=.20,
p=.011), 직무 특성(β=.19,
p=.007)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수술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법의간호 역량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임상경력 5년 미만, 5~9년인 경우, 직무 특성이 높을수록 법의간호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논의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이 법의간호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을 높이기 위한 중재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 정도의 평균점수는 총 4점 만점에 3.1점으로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Jo 등[
6]의 연구에서는 평균 평점이 3.04점으로 나온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법의간호 역량의 하위영역 중 능동적 정보수집이 3.3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사건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으로 사건·사고와 관련하여 환자가 내원한 과정과 사고 발생 경위에 관한 정보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수집 정도에 따라 법과학 및 법의학적 기전과 함께 예측할 수 있는 손상된 정도와 사건을 파악함으로써 빠르게 신체적·물리적으로 증거를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4,
21].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를 분류한 선행 연구에 의하면[
5] 수술실 간호사들이 중요도와 빈도가 높은 직무라고 생각하는 것들은 수술 환자와 수술부위 확인하기, 수술물품 멸균상태 확인하기, 수술 간호기록지 작성하기 등으로 분석되었다[
5]. 이러한 직무들은 법의학적 외상 환자에게서 사건과 관련된 신체적·물리적 증거를 수집하는 행위인 능동적 정보수집 행위와 유사하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가 수술실 간호업무 중 수술 전 전체적인 환자 피부 상태 및 외상 형태를 확인하여 피부관찰기록으로 작성하는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주 수행하고 있었기에 본 연구에서도 법의간호 역량의 한 영역인 능동적 정보수집이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법의간호 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유의했던 일반적 특성과 독립변수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경력 5년 미만, 5~9년인 경우, 직무 특성 순으로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1.4%이었다. 법의간호 역량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수술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총 4점 만점에 평균 3.16점으로 나타났으며 동일도구를 사용하여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Moon과 Shin [
15]의 연구에서 평균 2.8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신의 직업적 지식, 기술 및 가치에 대한 정신적 지각[
14]을 말한다. 따라서 높은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진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실의 특정한 외과적 절차와 개별 수술 환자의 독특한 요구에 따라 능숙하게 전문적인 간호실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것이므로[
15,
28], 상황에 따라 법적인 문제를 지닌 외상 환자의 수술 간호시에도 이에 필요한 법적 논쟁과 관련된 증거자료의 수집과 보관 등과 관련된 간호업무를 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동일한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가 없어서 비교에 제한이 있지만, 기존의 연구 중에서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Park [
20]의 연구에서도 법의학적 수행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문직 자아개념의 전문직 실무와 의사소통이 있다고 보고하여,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증거 관리를 포함한 법의간호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임상경력 또한 법의간호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임상경력이 10년 미만인 수술실 간호사가 10년 이상인 간호사보다 법의간호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선행 연구 중 응급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을 다룬 Ahn과 Sung [
21]의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법의간호 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응급실 간호사는 법적 문제로 외상 사건과 관련된 환자로부터 첫 번째로 대면하는 의료인으로[
4], 법의간호 역량과 수행 정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을 찾는 선행 연구들이 많고[
29], 그 연구를 바탕으로 법의간호학적 역할인지가 높고, 법의학적 경험, 교육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법의간호학적 간호업무와 관련된 선행 연구는 아직 미비하며, 이는 병원 안에서 외상 환자와 관련 있는 업무를 하는 다양한 부서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법의간호학적 지식, 역량 등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과 연구가 없다는 실정을 말해준다. 최근에 이르러서야 병원의 응급실 외 다른 부서에서도 사건·사고나 범죄에 관한 상황의 환자를 접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병원에서의 지속적인 법의간호 적용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있다[
6]. 또한, 법의간호학이 상대적으로 최근에 등장한 간호분야인 만큼 간호대학을 졸업한지 얼마 되지 않고 법의학 관련 공중매체(드라마, 시사 프로그램 등)를 더 많이 접하였을 젊은 연령층, 다시 말해 10년 미만의 간호사가 법의간호 역량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실 업무수행과 관련된 법의간호학적 태도, 역할인지 및 지식에 초점을 둔 법의간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적인 보수교육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관련된 프로토콜과 실무교육을 통해서 체계적인 경력개발을 위한 병원의 제도적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에 직무 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무 특성이 높은 간호사들은 내적 직무 동기가 유발되고 직무 만족이 증가하면서 높은 직무 성과를 보이게 된다[
12]. 따라서 이러한 높은 직무 성과를 보이는 수술실 간호사가 법의간호 역량 또한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 특성의 하위 개념 중 직무 중요성이 가장 높았는데, 직무 중요성은 직무가 조직 내부 및 외부의 다른 사람이나 그들의 직무 또는 전체적인 작업에 영향력을 미치는 정도를 의미하며, 직무 중요성이 높을수록 자기 일에 대한 자신감과 의무부여가 높아진다[
11]. 수술실 간호사가 환자의 수술 간호를 통해 자신의 직무가 환자의 생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중요하게 지각할 수록, 잠재적인 범죄의 희상자일 수 있는 복잡한 문제를 동반한 외상 환자에게 수술 간호를 제공할 때 높은 법의간호 역량을 발휘할 것이다.
법의간호는 법적 증거에 대한 기록과 증거보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법의간호의 주요 역량은 증거를 기록하고 보존하여 증거 연계성을 보존하여 전달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18]. Lynch [
4]의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법의간호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중요한 증거를 확인하여 수집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Abdool과 Brysiewicz [
19]의 연구에서는 잠재적으로 법적 문제를 동반하는 환자를 평가하고 법의 간호학적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관련 상황을 서류화하고 법의 간호학적 프로토콜 개발을 통해 법의간호학적 인지와 역할수행을 높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수술실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들은 외상 사건과 관련된 정보와 직무기술의 부족함으로 인해 충분한 법의간호를 제공받지 못하였다[
29].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술실 간호사에게 수술실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외상 환자의 사건·사고와 관련된 법의간호학적 직무교육의 제공이 필요하다. 우선, 법적인 문제와 관련된 외상 수술 환자의 전반적인 신체 사정 및 신체 결과를 파악하고 기록하는 법의간호학적 수행의 중요성을 지각할 수 있도록 수술실 간호사들의 인식변화가 필요하고[
2],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외상 환자의 피부를 사정하는 법의간호학적 방법, 사건·사고에 따른 외상 상처의 종류, 증거물 인정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사진 촬영 방법, 증거물 간호기록 방법, 증거물 관리 등의 매뉴얼을 구성하여 실무교육을 시행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법의간호는 간호영역에 법률 지식이 포함된 법과학 및 법의학이 응용된 학문으로 법적 증거에 대한 기록과 증거를 보존하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2]. 실제 본 연구 대상자의 12.8%만이 법의간호 관련 교육을 받은 상태로, 현재 우리나라의 법의간호 교육이 부족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Eldredge [
10]의 연구결과에서도 직무교육을 통해 새로운 의료 환경에 필요한 법의간호와 관련된 지식, 기술 훈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을 향상을 위해서는 병원 내 수술실 환경에 맞는 법의간호학적 간호기록에 대한 지침서와 환자의 외상 형태와 법적으로 증거를 확보하고 증거 연계성을 보존할 수 있는 임상 사례 및 법적인 사례를 적용한 직무교육, 집담회 등이 필요하다. 또한, 법의간호학적 간호기록 작성 훈련을 위해 병원의 제도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응급실을 통해 긴급하게 수술실로 이송되는 외상 환자로부터 중요한 법정증거를 인지하지 못하고 간과하는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이에 대한 동일한 대상자를 연구한 선행 연구가 없어서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 정도를 논의하기에 제약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 설계는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 및 법의간호 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수술실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수술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에 전문직 자아개념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법의간호 역량 향상을 위하여 확고한 전문직 자아개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임상 직무교육 개발하고 타 의료진들과의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협조적인 관계를 위한 병원 차원의 제도적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외상 환자 피부 사정 방법, 외상 유형의 종류, 사진 촬영 방법, 증거물에 대한 간호기록 방법 등의 업무지침서 개발과 법의간호학적 증거물 관리 및 표준화된 교육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수술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 특성이 법의간호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고, 수술실 간호업무수행과 관련된 법의간호학적 증거자료를 수집 및 보관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학문적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구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의 수술실 간호사로 한정되어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직무 특성 도구[
24]의 하위영역 중 ‘기술다양성’은 신뢰도 수용 기준인 .70에 미치지 못하여 해당 하위영역 3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4개 하위영역(12문항)만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는 전체 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향상시켰으나 직무 특성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 중 하나를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내용타당도가 일부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결과 해석시 이점을 고려하고, 후속 연구에서는 해당 문항의 수정이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법의간호 역량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응급실 간호사 위주이므로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법의간호 역량의 다양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Article Information
-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BKP, YKJ. Methodology: YKJ. Formal analysis: YKJ. Data curation: BKP, YKJ. Project administration: BKP. Writing – original draft: YKJ. Writing - review & editing: BKP. All authors read and agreed to the published version of the manuscript.
-
Conflict of interest
None.
-
Funding
None.
-
Data availability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
Acknowledgments
None.
Table 1.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164)
Characteristic |
Classification |
n (%) |
M±SD |
Gender |
Man |
13 (7.9) |
- |
Woman |
151 (92.1) |
- |
Age (yr) |
<30 |
69 (42.1) |
32.30±6.90 |
30~39 |
72 (43.9) |
≥40 |
23 (14.0) |
Marital status |
Single |
100 (61.0) |
- |
Married |
64 (39.0) |
- |
Religion |
Yes |
67 (40.9) |
- |
No |
97 (59.1) |
- |
Education level |
Associate’s degree |
34 (20.7) |
- |
Bachelor’s degree |
123 (75.0) |
- |
Graduate school |
7 (4.3) |
- |
Length of total career (yr) |
<5 |
49 (29.9) |
8.34±7.13 |
5~9 |
76 (46.3) |
≥10 |
39 (23.8) |
Job position |
Staff |
144 (87.8) |
- |
≥Charge |
20 (12.2) |
- |
Job satisfaction |
Satisfied |
77 (47.0) |
- |
Average |
66 (40.2) |
- |
Unsatisfied |
21 (12.8) |
- |
Perception of forensic nursing |
Very familiar |
4 (2.4) |
- |
A little |
124 (75.6) |
- |
Not at all |
36 (22.0) |
- |
Experience of forensic education |
Yes |
21 (12.8) |
- |
No |
143 (87.2) |
- |
Table 2.Levels of Study Variables (N=164)
Variable |
Classification |
M±SD |
Min |
Max |
Job characteristics |
Skill variety |
3.39±0.59 |
2.33 |
5.00 |
|
Task identity |
3.42±0.56 |
1.67 |
5.00 |
|
Task signification |
3.94±0.72 |
2.00 |
5.00 |
|
Autonomy |
3.34±0.79 |
1.00 |
5.00 |
|
Feedback |
3.81±0.64 |
2.33 |
5.00 |
|
Total |
3.58±0.47 |
2.20 |
5.00 |
Professional self-concept |
Professional practice |
2.88±0.43 |
1.44 |
4.06 |
|
Satisfaction |
3.00±0.49 |
1.80 |
4.60 |
|
Communication |
3.14±0.51 |
1.25 |
4.25 |
|
Total |
3.04±0.31 |
1.73 |
4.23 |
Competency in forensic nursing |
Nursing practice |
3.07±0.68 |
1.00 |
4.00 |
|
Communication |
3.16±0.61 |
1.20 |
4.00 |
|
Critical thinking |
3.20±0.69 |
1.00 |
4.00 |
|
Human caring and relationship |
3.31±0.52 |
1.00 |
4.00 |
|
Evidence management |
3.24±0.65 |
1.00 |
4.00 |
|
Active information collection |
3.32±0.58 |
1.33 |
4.00 |
|
Professional development |
3.05±0.61 |
1.29 |
4.00 |
|
Knowledge integration |
2.90±0.76 |
1.00 |
4.00 |
|
Total |
3.16±0.52 |
1.31 |
4.00 |
Table 3.Differences in Study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64)
Characteristic |
Classification |
Job characteristics |
Professional self-concept |
Competency of forensic nursing |
M±SD |
t/F (p), Scheffé |
M±SD |
t/F (p), Scheffé |
M±SD |
t/F (p), Scheffé |
Gender |
Man |
3.66±0.58 |
0.41 (.522) |
3.1±0.4 |
2.90 (.090) |
3.2±0.7 |
0.29 (.592) |
|
Woman |
3.57±0.46 |
3.0±0.3 |
3.1±0.5 |
Age (yr) |
<30a
|
3.58±0.51 |
0.49 (.616) |
3.0±0.3 |
1.27 (.283) |
3.2±0.5 |
2.11 (.125) |
|
30-39b
|
3.56±0.47 |
3.0±0.3 |
3.1±0.5 |
|
≥40c
|
3.67±0.33 |
2.9±0.2 |
2.9±0.4 |
Marital status |
Single |
3.57±0.49 |
0.07 (.798) |
3.0±0.3 |
0.31 (.578) |
3.1±0.5 |
1.37 (.244) |
|
Married |
3.59±0.44 |
3.0±0.3 |
3.1±0.4 |
Religion |
Yes |
3.57±0.44 |
0.02 (.876) |
3.0±0.3 |
0.01 (.928) |
3.2±0.5 |
0.69 (.406) |
|
No |
3.59±0.49 |
3.0±0.2 |
3.1±0.5 |
Education level |
Associate’s degreea
|
3.59±0.57 |
0.20 (.817) |
3.1±0.3 |
1.20 (.304) |
3.2±0.5 |
0.27 (.762) |
|
Bachelor’s degreeb
|
3.57±0.45 |
3.0±0.3 |
3.1±0.5 |
|
Graduate schoolc
|
3.69±0.14 |
3.0±0.1 |
3.1±0.4 |
Length of total career (yr) |
<5a
|
3.54±0.53 |
1.25 (.289) |
3.0±0.2 |
0.13 (.878) |
3.2±0.5 |
4.07 (.019), c<a,b |
|
5-9b
|
3.56±0.46 |
3.0±0.2 |
3.2±0.4 |
|
≥10c
|
3.68±0.41 |
3.0±0.4 |
2.9±0.6 |
Job position |
Staff |
3.57±0.49 |
0.45 (.502) |
3.0±0.3 |
0.81 (.370) |
3.1±0.5 |
0.57 (.451) |
|
≥Charge |
3.65±0.28 |
3.0±0.2 |
3.0±0.3 |
Job satisfaction |
Satisfieda
|
3.66±0.41 |
4.03 (.020), c<b<a |
3.0±0.2 |
0.85 (.428) |
3.1±0.4 |
0.10 (.904) |
|
Averageb
|
3.56±0.48 |
3.0±0.3 |
3.1±0.5 |
|
Unsatisfiedc
|
3.34±0.58 |
2.9±0.3 |
3.1±0.6 |
Perception of forensic nursing |
Not at alla
|
3.56±0.55 |
3.69 (.027), a,b<c |
3.0±0.4 |
7.00 (.001), b,a<c |
3.1±0.6 |
1.28 (.281) |
|
A littleb
|
3.57±0.43 |
3.0±0.2 |
3.1±0.4 |
|
Very familiarc
|
4.20±0.60 |
3.6±0.4 |
3.5±0.4 |
Experience of forensic education |
Yes |
3.56±0.53 |
0.07 (.791) |
3.0±0.3 |
0.56 (.457) |
3.1±0.5 |
0.01 (.957) |
|
No |
3.58±0.46 |
3.0±0.3 |
3.1±0.5 |
Table 4.Correlations among Study Variables (N=164)
Variable |
Job characteristics |
Professional self-concept |
Competency in forensic nursing |
r (p) |
r (p) |
r (p) |
Job characteristics |
1 |
|
|
Professional self-concept |
.49 (<.001) |
1 |
|
Competency in forensic nursing |
.13 (.106) |
.60 (<.001) |
1 |
Table 5.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on Competency of Forensic Nursing (N=164)
Variety |
Model 1 |
Model 2 |
Model 3 |
B |
SE |
β |
t |
p
|
B |
SE |
β |
t |
p
|
B |
SE |
β |
t |
p
|
(Constant) |
2.96 |
0.08 |
- |
36.49 |
<.001 |
0.01 |
0.31 |
- |
0.01 |
1.000 |
0.30 |
0.32 |
- |
0.93 |
.355 |
Total career length of <5 yr |
0.27 |
0.11 |
.24 |
2.50 |
.013 |
0.27 |
0.09 |
.24 |
3.12 |
.002 |
0.24 |
0.09 |
.21 |
2.80 |
.006 |
Total career length of 5-9 yr |
0.26 |
0.10 |
.25 |
2.60 |
.010 |
0.23 |
0.08 |
.23 |
2.94 |
.004 |
0.20 |
0.08 |
.20 |
2.58 |
.011 |
Professional self-concept |
|
|
|
|
|
0.98 |
0.10 |
.60 |
9.72 |
<.001 |
1.13 |
0.11 |
.69 |
9.95 |
<.001 |
Job characteristics |
|
|
|
|
|
|
|
|
|
|
0.21 |
0.01 |
.19 |
2.72 |
.007 |
|
R2=.05, Adj. R2=.04, F=4.07, p=.019 |
R2=.40, Adj. R2=.39, F=35.75, p<.001 |
R2=.43, Adj. R2=.41, F=29.74, p<.001 |
REFERENCES
- 1. McGillivray B. The role of Victorian emergency nurses in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forensic evid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005;13(2):95-100. https://doi.org/10.1016/j.aaen.2004.09.001
- 2. Sekula LK. The advance practice forensic nur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dvanced Emergency Nursing Journal. 2005;27(1):5-14.
- 3.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9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survey [Internet].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20. [cited 2025 Jun 1]. Available from: https://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
- 4. Lynch VA. Forensic nurs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new role for the 1990s.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1991;14(3):69-86. https://doi.org/10.1097/00002727-199111000-00010
- 5. Kwon SB, Cho KS, Park YS, Kim DO, Lee EH. An analysis of nursing work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1):72-84.
- 6. Jo NY, Kim MH, Lee YM. Development of the forensic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20;13(3):24-40. https://doi.org/10.34250/jkccn.2020.13.3.24
- 7.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s. Core competencies for advanced practice forensic nursing. Elkridge, M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s; 2004. [cited 2025 Jun 1] Available from: https://www.forensicnurses.org/wp-content/uploads/2022/02/APN_Core_Curriculum_Document.pdf?utm_source
- 8.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s. What is forensic nurse? [Internet]. Elkridge, M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s; 2025. [cited 2025 Jun 1]. Available from: https://www.forensicnurses.org/page/WhatisFN/?utm_source
- 9. Youk GY, Kwak JS. The role of forensic nurse in the situation of sexual assault. Journal of Forensic and Investigative Science. 2006;1(1):31-44.
- 10. Eldredge K. Assessment of trauma nurse knowledge related to forensic practice. Journal of Forensic Nursing. 2008;4(4):157-165. https://doi.org/10.1111/j.1939-3938.2008.00027.x
- 11. Hackman JR, Oldham GR.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976;16(2):250-279. https://doi.org/10.1016/0030-5073(76)90016-7
- 12. Kim MS, Park YB.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nurse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6):1434-1444. https://doi.org/10.4040/jkan.1999.29.6.1434
- 13. Lee YH, Seomun GA. Effects of MBO and job commitment on nursing performance in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4):309-316.
- 14. Arthur D. Measurement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Nurse Education Today. 1995;15(5):328-335. https://doi.org/10.1016/s0260-6917(95)80004-2
- 15. Moon HS, Shin SH.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perating room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20;26(2):139-148. https://doi.org/10.14370/jewnr.2020.26.2.139
- 16. Oh JW. A study of between forensic nursing competence, ethical decision-making confidence,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 among nursing students. Annals of the Romanian Society for Cell Biology. 2021;25(1):846-853.
- 17. Yoo YS, Cha KS, Cho OH, Lee SK. Emergency department nurses' recognition of and educational needs for forensics nurs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5):499-508. https://doi.org/10.7475/kjan.2012.24.5.499
- 18. Han MH, Hong HS.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forensic nursing role in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4):291-299.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4.291
- 19. Abdool NN, Brysiewicz P. A description of the forensic nursing role in emergency departments in Durban, South Africa.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9;35(1):16-21. http://dx.doi.org/10.1016/j.jen.2008.02.003
- 20. Park SH.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role conflict on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8. p. 1-58.
- 21. Ahn HK, Sung MH. The influences of role awareness, experience and competency on performance of forensic nursing role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8;24(1):10-19. https://doi.org/10.14370/jewnr.2018.24.1.10
- 22. Ozsake E, Kaya A, Alcan AO, van Giersbergen MY, Aktas EO. Forensic cases in the operating room: knowledge and practices of physicians and nurses.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20;35(1):38-43. https://doi.org/10.1016/j.jopan.2019.06.010
- 23. Ozkan ES, Surmeli S, Albayrak T. Healthcare professionals’ knowledge level regarding forensic cases in the intensive care and operating room. Journal of Basic and Clinical Health Sciences. 2025;9(1):141-149. https://10.30621/jbachs.1531673
- 24. Oh IK, Choi JS.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social workers: a comparative study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senior centers and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2004;6(2):91-116.
- 25. Nunnally JC, Bernstein IH. Psychometric theory. 3rd ed. York, NY: McGraw-Hill; 1994. p. 248-292.
- 26. Lim SY.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master’s thesis]. Chuncheon: Hallym University; 2009. p. 1-55.
- 27. Durbin J, Watson GS. Testing for serial correlation in least squares regression, I. Biometrika. 1950;37(3-4):409-428. http://dx.doi.org/10.1093/biomet/37.3-4.409
- 28. Im M, Sung YH, Jung J. Relationship among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burnout as perceived by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170-180.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70
- 29. Erkan I, Yesilyurt A, Kayserili A. Analysis of awareness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in forensic nursing. Forensic Research & Criminology International Journal. 2017;5(3):00153. http://doi.org/10.15406/frcij.2017.05.0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