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NAD
  • Contact us
  • E-Submissi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Original Article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그릿, 팀워크와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5;31(3):237-248.
Published online: June 30, 2025

1부산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생

2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1Graduate Student, College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Haejung Lee, College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49 Busandaehak-ro, Mulgeum-eup, Yangsan 50612, Korea Tel: +82-51-510-8344, E-mail: haejung@pusan.ac.kr
• Received: October 29, 2024   • Revised: March 11, 2025   • Accepted: March 24, 2025

© 2025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463 Views
  • 45 Download
prev next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34 nurses from hospitals (100~300 beds) in Busan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ugust 17–September 15, 2024).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Results
    The mean score fo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as 4.31±0.55.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with grit, teamwork, communication, and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The predictor variables explained 46.0% of the variance i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ignificant factors included communication (β=.31, p=.032) and leadership (β=.29, p=.035) within teamwork, incident reporting frequency (β=.24, p<.001) within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and experience in patient safety education (β=.17, p=.018).
  •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eamwork, particularly in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and creating a safety culture that promotes incident reporting and education to strengthen patient safety nursing practices. Improving patient safety training, developing systematic evaluation and feedback mechanisms, and establishing structured support systems through campaigns and workshops will boost staff involvement and elevate the quality of patient safety practices.
1. 연구의 필요성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환자의 간병 부담을 완화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2013년 도입된 제도이다[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간호사, 간호조무사, 지원인력이 팀을 이루어 체계적인 간호를 제공하며[1], 환자 안전 확보, 감염 예방, 보호자의 간병 부담 경감 등을 목표로 한다[2]. 또한, 일반 병동 간호사보다 직접 간호 제공 시간이 길다는 특징이 있어 보건복지부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누적 입원 환자 수를 2027년까지 400만 명으로 목표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3].
상급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환자의 약 50.0%가 암 환자이고, 중소병원보다 환자의 중증도와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에 의존도가 높은 특성을 보이며[3], 환자안전사고의 90.0%에 대해 근본원인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환자안전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반면, 중소병원은 치매나 노인 환자, 뇌혈관 질환 및 만성 퇴행성 질환자가 많고,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낙상이나 욕창 등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나[4,5],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근본원인분석 적용비율은 27.0%에 불과하다[6]. 그러므로 중소병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강화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제도적 개선과 구조적 정비뿐만 아니라 의료진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인지적 변화가 필수적이다[6]. 특히, 보호자가 상주하지 않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의 환자안전은 의료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며[7], 낙상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8].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간호사의 전문적 역할이기도 하지만 간호보조인력에 대한 위임업무와도 직결되며, 효과적 환자안전간호를 위해서는 모든 의료진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7].
환자안전은 의료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를 예방하는 것으로[7],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개인의 실수보다 조직적•환경적 요인에서 비롯되며[7],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환자안전간호활동과 높은 상관성이 있다[8]. 그릿(grit)은 장기적인 목표를 향한 열정과 끈기로,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해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태도를 의미한다[9]. 높은 그릿을 지닌 간호사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축적하며, 환자 돌봄을 위한 전략을 주도적으로 수립함으로써 간호 조직의 발전에 기여한다[10]. 또한, 최상의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학습과 역량 강화를 지속하며, 팀워크를 활용해 목표 달성에 매진한다[11]. 특히, 이러한 특성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3].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팀 기반 간호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간호사와 지원인력으로 구성된다[1]. 팀워크는 조직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하는 과정이나 능력으로,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1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간호사는 팀 리더로서 팀에 할당된 모든 환자의 상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환자의 개별적인 간호계획을 수립하며[13], 간호조무사의 업무를 지도•감독하여 환자에게 안전한 간호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12]. 조직 의사소통능력은 협력의 필수 조건이자 조정과 통합의 핵심 수단으로, 조직 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협동적 행동을 촉진한다[14]. 이는 공식적•비공식적 의사소통을 포함하며[15], 조직 구성원이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14]. 특히, 병원 환경에서 조직 의사소통능력은 환자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간호 지식 및 기술과 동등한 정도의 중요성을 가진다[15]. 구성원 간 의사소통 실패는 환자안전사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며[16], 환자안전간호활동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지속적으로 강조된다[16].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는 조직 몰입[10], 자기 효능감[9],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통제감[17], 팀워크[18] 및 의사소통 역량[19] 등을 포함하였으나 주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의 병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중소병원들은 규모나 인력 구성, 자원의 제한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이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의 특성도 다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 안전문화 인식의 심리적 및 조직적 특성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특성과 환경을 반영한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사의 특성, 그릿, 팀워크와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 차이를 파악한다.
• 본 연구 대상자의 그릿, 팀워크와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정도를 파악한다.
• 본 연구 대상자의 그릿, 팀워크와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본 연구 대상자의 특성, 그릿, 팀워크와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 특성,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광역시 내 100∼300병상 규모 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이며,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20], 3개월 이상 환자에게 직접간호를 제공하는 자를 연구 대상자로 포함하였다. 3개월 미만 경력의 간호사와 환자에게 직접적인 간호를 제공하지 않는 수간호사 이상의 관리자는 제외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대상자 수는 G*Power 3.1.9.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팀활동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18] 큰 효과 크기(d) .30를 기준으로 계산하였고, 예측요인 18개, 유의수준(α) .05, 검정력(1-β) .95 기준으로 최소 요구되는 대상자 수는 115명이었으며, 탈락률 20%~25%를 고려하여 143~154명을 모집하는 것을 목표로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150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 16부를 제외한 13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3. 연구 도구
본 연구는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자 특성에 관한 14문항, 그릿 14문항, 팀워크 35문항, 조직 의사소통 능력 23문항, 환자안전문화 인식 42문항, 환자안전간호활동 32문항을 포함하여 총 16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도구는 원저자로부터 허가를 받은 후 사용하였다.

1) 연구 대상자 특성

연구 대상자의 특성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을 조사하였고, 일반적 특성으로는 나이, 결혼여부, 종교, 교육수준, 월 급여가 포함되었으며, 직무관련 특성으로는 의료기관의 유형, 병원의 총 병상 수와 병동의 병상 수, 담당환자 수, 간호전달체계, 총 임상경력,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 안전관리교육을 받은 경험 및 안전사고경험을 포함하여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환자안전간호활동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병원 2014년 인증평가기준집에서 환자안전평가 관련 5개 범주인 환자안전, 화재안전, 투약, 감염관리체계, 시설 및 의료기기 관리를 토대로 Han과 Jung [21]이 개발한 환자안전간호활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는 총 32문항의 8개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졌으며, 환자 확인 관련 4문항, 의사소통 관련 4문항, 수술/시술 전 환자안전 관련 3문항, 낙상예방 활동 관련 6문항, 손 위생 및 감염관리 관련 5문항, 화재안전과 응급상황관리 관련 2문항, 투약 관련 6문항, 시설과 의료기기 관리 관련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항상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반응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α는 .95였고, 본 연구에서 전체 Cronbach’s α는 .96, 하위 요인의 Cronbach’s α는 .69∼.92로 나타났다.

3) 그릿

Park 등[10]이 개발한 그릿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3개의 요인으로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끈기가 5개 문항, 간호전문가가 되기 위한 열정이 5개 문항, 환자 지향성 내적 동기가 4개 문항이며 총 14개 문항이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항상 그렇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 4점까지의 반응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그릿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 당시 Cronbach’s ⍺는 .91였고, 본 연구에서 전체 Cronbach’s α는 .87, 하위 요인의 Cronbach’s α는 .74∼.79로 나타났다.

4) 팀워크

미국 보건의료 연구소에서 개발된 팀워크 인식 도구[22]를 Hwang과 Ahn [23]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팀구조 문항, 리더십 문항, 상황 모니터링 문항, 상호지원 문항, 의사소통 문항의 5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인별로 7개의 문항이며 총 35개 문항이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1점에서, ‘매우 동의한다’ 5점의 반응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팀워크가 높음을 의미한다. Hwang과 Ahn [23]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는 .96이었고, 본 연구에서 전체 Cronbach’s α는 .96, 하위 요인의 Cronbach’s α는 .89∼.92로 나타났다.

5) 조직 의사소통 능력

본 연구에서는 Cha [24]가 개발한 조직 의사소통 능력 도구를 사용하였다. 공식적 의사소통 17문항, 비공식적 의사소통 6문항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의 반응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Cha [24]의 연구에서 도구의 Cronbach’s ⍺는 공식적 의사소통 .92, 비공식적 의사소통 .76이었고, 본 연구에서 전체 Cronbach’s α는 .96, 공식적 의사소통의 Cronbach’s ⍺는 .91, 비공식적 의사소통의 Cronbach’s ⍺는 .92로 나타났다.

6)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과 의료인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2004년에 미국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25]가 개발한 설문지를 Kim 등[26]이 의료기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문화 인식 도구는 6개 하위영역 총 42개 문항으로, 간호단위 근무환경 18개 문항, 간호단위 상사/관리자 4개 문항, 간호단위 의사소통 6개 문항, 간호단위 안전사고보고 빈도 3개 문항, 병원 환경 11개 문항으로 구성된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항상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반응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AHRQ [25] 개발 당시 .77이었고, Kim 등[26]의 연구에서는 .91, 본 연구에서 전체 Cronbach’s α는 .91, 하위 요인의 Cronbach’s α는 .62∼.91로 나타났다.
4.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4년 8월 17일부터 9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앞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기관 현황[27]에서 부산광역시 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의 명단을 확인하였고, 단순 무작위 표집을 통해 총 5개의 연구 대상 병원을 결정하였다. 선정된 병원을 방문하여 부서장에게 연구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여 자료 수집에 대한 승인을 받은 후, 병동 게시판에 모집 공고문을 부착하고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각 병원별 설문에 6명, 8명, 21명, 35명, 64명의 연구 대상자가 응답하였다. 설문 참여자는 URL을 통해 연구 목적, 응답 방법, 개인정보 보호 및 익명성 보장, 자료 활용 범위, 참여 철회 가능성 등을 확인한 후 연구참여에 자발적 동의를 한 경우에만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크리닝 절차를 적용하여 연구 대상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설문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모든 문항에 응답해야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1회 참여만 가능하도록 하여 중복 응답을 방지하였다. 설문 소요 시간은 약 15∼20분이었으며, 응답을 완료한 참가자에게는 소정의 보상이 제공되었다. 모든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하였으며, 보상 제공을 위한 휴대전화 번호는 보상 제공 후 즉시 폐기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연구 대상자의 특성,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로 분석하고, 사후 검증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다.
• 연구 대상자의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 연구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과 관련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전 통계분석에서 환자안전간호활동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를 동시에 회귀분석에 투입하는 동시적 다중회귀분석(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6. 윤리적 고려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하여 본 연구는 P 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으며(PNU IRB/2024_108_HR), 승인 후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연구 대상자의 정보는 학술연구 목적으로만 활용하였다. 설명문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고, 언제든지 연구 대상자가 원할 때 설문 중단이 가능하며 중단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자료가 남지 않음을 안내하였다. 연구 데이터는 잠금장치가 있는 장소에 코드화된 상태로 보관하여 자료가 유출되지 않게 하였으며, 연구 종료 후에도 3년간 보관될 예정이다. 이후 3년이 지나면 합법적으로 폐기할 것을 안내하였다. 또한 설문 내용 중, 이해되지 않거나 의문사항이 있는 경우에 문의할 수 있도록 설문지에 연구자의 연락처와 이메일 주소를 명시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1.54±5.0세로 나타났고, 종교 유무는 ‘없다’가 86명(64.2%)으로 ‘있다’ 48명(35.8%)보다 많았고, 학력은 4년제 대학이 102명(76.1%)으로 가장 많았고, 3년제 대학이 27명(20.1%), 석사학위 이상이 5명(3.7%)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95명(70.9%)으로 ‘기혼’ 39명(29.1%)보다 많았고, 담당환자 수는 평균 16.52±7.8명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93명(69.4%)이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었고, 병원 총 병상 수는 200병상 이상이 99명(73.9%)으로 나타났고, 병동 병상 수는 40병상 이상이 76명(56.7%)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달 체계는 ‘팀 간호’가 82명(61.2%)으로 가장 많았고, 월수입은 ‘300만 원∼400만 원 미만’이 73명(54.5%)으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6.95±4.37년이었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은 평균 3.04±1.88년이었다. 안전교육경험은 ‘있다’가 122명(91.0%), 안전사고경험은 ‘있다’가 105명(78.4%)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병원 총 병상 수(t=-2.63, p=.010), 안전교육경험(t=4.20, p<.001), 사고경험(t=2.40, p=.01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병원 총 병상 수가 ‘200병상 이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군이 ‘200병상 미만’에서 근무하고 있는 군보다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가 높았으며, 안전교육경험이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가 높았다. 또한 안전사고경험이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가 높았다.
2.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정도
본 연구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정도는 Table 2와 같다. 그릿은 평균 2.95±0.35점으로, 하위 요인 중 간호전문가가 되기 위한 열정이 3.10±0.36점으로 가장 높았고,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끈기는 2.73±0.45점으로 가장 낮았다. 팀워크의 평균은 3.74±0.56점으로, 의사소통이 3.89±0.6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리더십은 3.54±0.79점으로 가장 낮았다. 조직 의사소통 능력은 평균 3.37±0.73점으로, 하위 요인 중 수평적 의사소통이 3.56±0.73점으로 가장 높았고, 비공식적 의사소통은 3.00±0.89점으로 가장 낮았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평균 3.29±0.41점으로, 간호단위의 안전사고보고 빈도가 3.95±0.74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단위의 근무환경은 3.16±0.40점으로 가장 낮았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평균 4.31±0.55점으로, 손 위생 및 감염관리가 4.47±0.61점으로 가장 높았고, 화재안전 및 응급상황관리가 4.05±0.76점으로 가장 낮았다.
3.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상관관계
본 연구 대상자들의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팀워크와 조직 의사소통은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r=.79, p<.001), 조직 의사소통과 환자안전문화 인식(r=.67, p<.001),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 인식(r=.66, p<.001), 그릿과 팀워크(r=.58, p<.001), 그릿과 환자안전문화 인식(r=.49, p<.001), 팀워크와 환자안전간호활동(r=.51, p<.001),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r=.47, p<.001), 그릿과 환자안전간호활동(r=.43, p<.001), 그릿과 조직 의사소통(r=.42, p<.001)이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팀워크와 조직 의사소통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조직 의사소통 능력과 환자안전문화 인식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 인식 하위영역 중 간호단위의 상사/관리자(r=.63, p<.001), 간호단위의 의사소통(r=.55, p<.001), 간호단위의 근무환경(r=.55, p<.001), 병원환경(r=.51, p<.001)과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릿과 팀워크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팀워크와 환자안전간호활동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고, 그릿과 환자안전간호활동 하위영역 중 투약(r=.41, p<.001), 화재안전 및 응급상황관리(r=.38, p<.001), 의사소통(r=.38, p<.001), 낙상예방활동(r=.37, p<.001), 정확한 환자 확인(r=.36, p<.001), 손 위생 및 감염관리(r=.34, p<.001), 수술/시술 전 환자 확인(r=.29, p<.001)과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릿과 조직 의사소통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Table 3).
4.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병원의 총 병상 수,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 안전사고경험 및 그릿, 팀워크, 조직 의사소통,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하위영역을 회귀모형에 동시에 투입하였다. 병원 총 병상 수(1=≥200), 안전교육(1=있다)과 사고경험(1=있다)은 더미 변수(dummy variable)로 모형에 포함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독립변수간 다중공선성 여부를 점검한 결과 회귀분석의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는 1.19∼8.60으로 10을 초과하지 않아 모든 변수에서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오차의 자기상관을 Durbin-Watson 검정을 통해 확인한 결과, 값은 1.81로 2에 가까워 자기상관이 없음을 나타내었고, 잔차분석 결과, 모형의 선형성(linearity), 오차항의 정규성(normality), 등분산성(homoscedasticity)이 만족되었다. 본 연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회귀분석 모형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F=6.73, p<.001), 모형의 설명력은 adjusted R2=.46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팀워크 중 리더십(β=.29, p=.035)과 의사소통(β=.31, p=.032), 환자안전문화인식 중 안전사고보고 빈도(β=.24, p<.001)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교육 경험(=있다) (β=.17, p=.018)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본 연구는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특성, 그릿, 팀워크와 조직 의사소통 능력,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수준은 5점 만점에 4.31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Kim과 Jang [3]의 연구에서 4.56점, Noh와 Kim [28]의 연구에서 4.55점, Nam과 Kong [29]의 연구에서 4.69점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이는 인적 및 물리적 환경에서의 차이로 인한 결과로 해석된다[2].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는 의료기관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의료 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덕분에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29]. 특히 하위 요인 중 손 위생, 감염관리, 낙상 예방 등 환자안전지표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선행 연구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28]. 반면, 화재안전, 응급상황관리, 의사소통 영역에서 낮은 점수가 나타난 것은 다수의 선행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3,21,28,30]. 표준화된 의사소통은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 개선과 업무에서의 실수 발생을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10],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31]. 따라서 조직 차원에서 원활하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규정 강화와 표준화된 의사소통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28].
본 연구에서는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팀워크의 리더십 수준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안전문화 인식 중 안전사고보고 빈도, 안전교육 경험이 환자안전간호활동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팀워크의 하위 요인 중 리더십 점수가 3.54점으로 가장 낮았으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Lee 등[32]의 연구와도 일치하며, 팀 리더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다양한 간호인력으로 구성된 조직 특성상 간호사가 리더로서의 역할을 기대 받는 동시에, 간호 보조 인력보다 더 높은 수준의 역할 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33]. 이에 따라 명확한 역할 분장과 위임을 통해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역할 기대를 조화롭게 조율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32].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선행 연구[8,18,28,34]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하위요인인 환자안전사고보고 항목은 3.9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Lee [18]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안전간호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오류를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고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관리자의 태도와 이를 통한 병원전체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필요하다[18]. 본 연구에서 안전교육을 받은 연구 대상자의 안전간호활동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은 환자안전교육이 안전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사고 대응 능력을 향상하는데 기여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35]. 환자안전교육은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병원 및 의료기관은 교육의 중요성과 반복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정기적이고 반복적 교육을 통해 환자안전간호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경험과 보고 태도는 원활한 의사소통 체계를 통해 조직 발전과 연계되며, 사고 발생 시 자유롭게 보고할 수 있는 개방적 분위기는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한다[35]. 본 연구에서 그릿 점수는 4점 만점에 2.95점으로,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Kim과 Jang [3]의 2.91점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Kwak 등[36]의 3.20점,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Yang [37]의 3.15점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사의 그릿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열정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목표 설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인내를 키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다[36].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조직 의사소통 능력은 5점 만점에 3.37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대상으로 한 Oh와 Yi [19]의 3.63점보다는 다소 낮고, 종합병원 응급실을 대상으로 한 Yoon과 Park [31]의 2.89점보다는 높은 수치였다. 이는 응급실의 특성상 계층적 조직문화로 하향적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는 반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보다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의사소통 환경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수평적 의사소통 항목에서 3.56점이 기록되었으며, 이는 Yoon과 Park [31]의 연구에서 보고된 2.85점보다 높은 수치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다양한 의료인력과 수평적으로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팀 리더는 강압적이고 지시적인 리더십보다는 팀원들과 간호 계획을 공유하고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협력적인 팀 문화를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할 것이다[32].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내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므로, 지역, 병원 규모 및 근무환경에 따라 연구 결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안전간호활동 향상을 위해 표준화된 의료서비스를 통해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고, 이론 교육뿐만 아니라 실제 간호업무와 관련된 동영상 교육 및 인터넷 교육을 활용해 교육 효과를 강화해야 한다[8]. 또한, Kim과 Kim [38]의 연구에서 간호사의 그릿이 환자안전문화 및 감염예방환경과 관련이 있음을 밝혔으므로, 그릿과 환자 안전 관리 활동 간의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선행 연구를 참고하였을 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향상됨에 따라 환자안전사고가 감소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으므로[34], 조직 의사소통 능력과 환자안전간호활동 간의 관계와 관련한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간호사만의 책임이 아니라 의료기관 전체의 공동 의무로 이해되어야 하며, 모든 의료 종사자가 협력하여 환자안전을 확보해야 한다[28]. 이를 위해 환자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정기적인 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며,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캠페인과 워크숍을 개최하여 모든 직원이 환자안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환자안전활동에 대한 전 직원 참여를 포함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100병상에서 300병상 규모 중소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신속한 자료 수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표본 대표성의 한계, 응답 신뢰성 문제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39].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수준이 비교적 높으며,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교육경험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의료진 간 팀워크 향상을 위해 구성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강화하는 방안과 리더십 향상을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 오류를 줄이기 위해 통일된 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하거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훈련과정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환자안전 목표를 장기적으로 설정하여 지속적인 노력과 인내를 기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팀워크 강화를 위해 리더십 교육과 사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 협력적 환경을 조성을 위한 역할극을 포함하는 실습 진행, 주기적인 환자안전교육과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한 워크숍 등을 운영할 수 있다. 환자안전사고 보고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개방적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안전문화가 핵심 가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캠페인과 워크숍을 통해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의료기관은 환자안전간호활동 성과를 측정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개선 방향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병원 내 환자안전사고 보고 시스템의 활성화, 직원 간 활발한 의사소통 체계 마련 및 지속적인 환자안전 교육을 위한 전략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특정 지역에 한정되었으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높이기 위해 대상 지역과 기관을 확장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팀워크 및 리더십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 교육이 필요하며, 환자안전활동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부서와의 협력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넷째, 병원 전체 직원을 포함하는 환자 안전 관리 활동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JK, HL. Methodology: JK, HL. Formal analysis: JK. Data curation: JK, HL. Visualization: JK, HL. Project administration: JK, HL. Writing - original draft: JK. Writing - review & editing: JK, HL. All authors read and agreed to the published version of the manuscript.

Conflict of Interest

None.

Funding

None.

Data Availability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Acknowledgments

None.

Table 1.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Nurses (N=134)
Variable Category M±SD or n (%)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M±SD t/F/r (p), Scheffѐ
Age (yr) 31.54±5.0 -0.08 (.378)
Religion Yes 48 (35.8) 4.40±0.51 1.44 (.154)
No 86 (64.2) 4.25±0.57
Education Diploma 27 (20.1) 4.42±0.62 1.11 (.334)
Bachelor’s degree 102 (76.1) 4.27±0.53
≥Master’s degree 5 (3.7) 4.48±0.52
Marital status Single 95 (70.9) 4.28±0.58 -0.80 (.428)
Married 39 (29.1) 4.36±0.49
Patient load (person) 16.52±7.8 -0.03 (.716)
Hospital type General 93 (69.4) 4.32±0.57 0.43 (.669)
Specialized 41 (30.6) 4.27±0.52
Hospital size (bed) <200 35 (26.1) 4.10±0.58 -2.63 (.010)
≥200 99 (73.9) 4.38±0.53
Unit size (bed) <40 58 (43.3) 4.26±0.49 -0.74 (.446)
≥40 76 (56.7) 4.34±0.60
Care delivery system Functional Nursing 43 (32.1) 4.21±0.56 0.87 (.420)
Team Nursing 82 (61.2) 4.35±0.57
Other 9 (6.7) 4.32±0.32
Monthly income (10,000 won) <300 59 (44.0) 4.26±0.58 1.29 (.280)
300∼400 73 (54.5) 4.33±0.53
≥400 2 (1.5) 4.86±0.20
Total clinical experience (yr) 6.95±4.37 0.14 (.113)
Experience of integrated care delivery system (yr) 3.04±1.88 0.10 (.244)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education Yes 122 (91.0) 4.36±0.52 4.20 (<.001)
No 12 (9.0) 3.70±0.56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 Yes 105 (78.4) 4.36±0.49 2.40 (.018)
No 29 (21.6) 4.09±0.72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of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134)
Variable Sum Item Min Max
M±SD M±SD
Grit 41.34±4.95 2.95±0.35 25 56
 Persistence to achieve long term goals 13.66±2.26 2.73±0.45 7 20
 The passion to become a nursing professional 15.52±1.79 3.10±0.36 10 20
 Patient oriented intrinsic motivation 12.15±1.88 3.04±0.47 7 16
Teamwork 131.07±19.74 3.74±0.56 81 175
 Team structure 25.69±4.40 3.67±0.63 16 35
 Team leadership 24.81±5.50 3.54±0.79 9 35
 Situation monitoring 26.83±4.33 3.83±0.62 14 35
 Mutual support 26.49±4.33 3.78±0.62 14 35
 Team communication 27.25±4.36 3.89±0.62 14 35
Organiza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77.43±16.77 3.37±0.73 30 115
 Upward communication 17.17±3.94 3.43±0.79 5 25
 Downward communication 20.87±4.99 3.48±0.83 6 30
 Horizontal communication 21.36±4.39 3.56±0.73 8 30
 Informal communication 18.03±5.33 3.00±0.89 6 30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138.15±17.60 3.29±0.41 82 190
 Work/unit environment 56.63±7.57 3.16±0.40 33 81
 Attitude of supervisor or manager 14.01±2.45 3.50±0.61 7 20
 Frequency of incidence report 11.84±2.21 3.95±0.74 5 15
 Communication process 20.39±3.62 3.40±0.60 12 30
 Hospital environment 35.28±6.53 3.21±0.60 13 54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137.77±17.67 4.31±0.55 74 160
 Accurate patient identification 17.37±2.60 4.34±0.65 11 20
 Communication 16.24±2.85 4.06±0.71 9 20
 Pre-procedural and preoperative patient safety activities 12.80±1.97 4.27±0.66 7 15
 Fall prevention 26.36±3.70 4.39±0.62 14 30
 Hand hygiene and infection prevention 22.33±3.03 4.47±0.61 11 25
 Fire safety and emergency management 8.10±1.51 4.05±0.76 4 10
 Medication 26.06±3.79 4.34±0.63 13 30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y management 8.51±1.41 4.25±0.70 4 10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3.
Correlation among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134)
Category 1 1-1 1-2 1-3 2 2-1 2-2 2-3 2-4 2-5 3 3-1 3-2 3-3 3-4 4 4-1 4-2 4-3 4-4 4-5 5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1. Grit 1
 1-1. Persistence to achieve long term goals .86 (<.001) 1
 1-2. The passion to become a nursing professional .85 (<.001) .61 (<.001) 1
 1-3. Patient oriented intrinsic motivation .80 (<.001) .48 (<.001) .55 (<.001) 1
2. Teamwork .58 (<.001) .53 (<.001) .55 (<.001) .37 (<.001) 1
 2-1. Team structure .58 (<.001) .55 (<.001) .52 (<.001) .36 (<.001) .86 (<.001) 1
 2-2. Team leadership .53 (<.001) .53 (<.001) .44 (<.001) .35 (<.001) .85 (<.001) .77 (<.001) 1
 2-3. Situation monitoring .52 (<.001) .43 (<.001) .54 (<.001) .33 (<.001) .89 (<.001) .70 (<.001) .67 (<.001) 1
 2-4. Mutual support .37 (<.001) .36 (<.001) .38 (<.001) .20 (.022) .84 (<.001) .61 (<.001) .57 (<.001) .71 (<.001) 1
 2-5. Team communication .50 (<.001) .39 (<.001) .50 (<.001) .37 (<.001) .87 (<.001) .61 (<.001) .59 (<.001) .79 (<.001) .79 (<.001) 1
3. Organiza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42(<.001) .46 (<.001) .30 (.001) .28 (.001) .79 (<.001) .66 (<.001) .79 (<.001) .65 (<.001) .62 (<.001) .65 (<.001) 1
 3-1. Upward communication .39 (<.001) .41 (<.001) .30 (.001) .26 (.003) .78 (<.001) .67 (<.001) .76 (<.001) .62 (<.001) .65 (<.001) .64 (<.001) .92 (<.001) 1
 3-2. Downward communication .46 (<.001) .46 (<.001) .31 (<.001) .37 (<.001) .78 (<.001) .68 (<.001) .78 (<.001) .64 (<.001) .59 (<.001) .65 (<.001) .94 (<.001) .86 (<.001) 1
 3-3. Horizontal communication .43 (<.001) .45 (<.001) .34 (<.001) .27 (.002) .76 (<.001) .61 (<.001) .74 (<.001) .64 (<.001) .62 (<.001) .66 (<.001) .91 (<.001) .83 (<.001) .88 (<.001) 1
 3-4. Informal communication .25 (.003) .33 (<.001) .14 (.096) .13 (.134) .55 (<.001) .44 (<.001) .59 (<.001) .47 (<.001) .43 (<.001) .43 (<.001) .83 (<.001) .66 (<.001) .68 (<.001) .62 (<.001) 1
4.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49 (<.001) .50 (<.001) .46 (<.001) .26 (.003) .66 (<.001) .59 (<.001) .66 (<.001) .53 (<.001) .46 (<.001) .58 (<.001) .67 (<.001) .63 (<.001) .65 (<.001) .71 (<.001) .47 (<.001) 1
 4-1. Work/unit environment .43 (<.001) .45 (<.001) .41 (<.001) .21 (.015) .55 (<.001) .51 (<.001) .53 (<.001) .42 (<.001) .42 (<.001) .49 (<.001) .54 (<.001) .50 (<.001) .51 (<.001) .61 (<.001) .35 (<.001) .90 (<.001) 1
 4-2. Attitude of supervisor/manager .45 (<.001) .39 (<.001) .43 (<.001) .31 (<.001) .63 (<.001) .56 (<.001) .65 (<.001) .52 (<.001) .40 (<.001) .55 (<.001) .59 (<.001) .59 (<.001) .62 (<.001) .63 (<.001) .32 (<.001) .76 (<.001) .67 (<.001) 1
 4-3. Frequency of incidence report .16 (.071) .11 (.220) .15 (.080) .14 (.108) .23 (.007) .05 (.579) .19 (.025) .27 (.002) .20 (.022) .30 (<.001) .21 (.014) .15 (.081) .20 (.018) .24 (.006) .17 (.052) .32 (<.001) .17 (.051) .17 (.048) 1
 4-4. Communication process .35 (<.001) .37 (<.001) .33 (<.001) .14 (.102) .55 (<.001) .43 (<.001) .54 (<.001) .43 (<.001) .42 (<.001) .51 (<.001) .62 (<.001) .58 (<.001) .53 (<.001) .63 (<.001) .50 (<.001) .72 (<.001) .55 (<.001) .49 (<.001) .25 (.004) 1
 4-5. Hospital environment .42 (<.001) .45 (<.001) .37 (<.001) .21 (.015) .51 (<.001) .52 (<.001) .54 (<.001) .41 (<.001) .30 (<.001) .40 (<.001) .55 (<.001) .51 (<.001) .56 (<.001) .53 (<.001) .39 (<.001) .85 (<.001) .67 (<.001) .56 (<.001) .13 (.149) .46 (<.001) 1 (<.001)
5.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43 (<.001) .34 (<.001) .48 (<.001) .28 (.001) .51 (<.001) .38 (<.001) .33 (<.001) .51 (<.001) .43 (<.001) .59 (<.001) .34 (<.001) .33 (<.001) .37 (<.001) .39(<.001) .18 (.043) .47 (<.001) .35 (<.001) .43 (<.001) .39 (<.001) .33 (<.001) .38 (<.001) 1
Table 4.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134)
Variable Category B SE β t p
Hospital capacity <200 (ref.) 0.12 0.09 .1 1.40 .165
≥200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No (ref.) 0.33 0.14 .17 2.40 .018
Yes
Patient safety incident experience No (ref.) 0.10 0.09 .07 1.05 .294
Yes
Grit Persistence to achieve long term goals 0.05 0.11 .04 0.41 .680
The passion to become a nursing professional 0.27 0.16 .17 1.68 .096
Patient oriented intrinsic motivation -0.08 0.10 -.06 -0.75 .456
Teamwork Team structure 0.03 0.11 .03 0.24 .809
Team leadership 0.20 0.09 .29 2.13 .035
Situation monitoring 0.08 0.12 .09 0.67 .502
Mutual support -0.01 0.11 -.01 -0.09 .928
Team communication 0.28 0.13 .31 2.17 .032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Upward communication -0.05 0.11 -.06 -0.43 .670
Downward communication 0.06 0.12 .09 0.49 .628
Horizontal communication 0.03 0.12 .04 0.22 .829
Informal communication -0.01 0.06 -.02 -0.20 .838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ork/unit environment -0.14 0.16 -.10 -0.93 .356
Attitude of supervisor/manager 0.12 0.10 .14 1.27 .206
Frequency of incidence report 0.18 0.05 .24 3.31 .001
Communication process 0.05 0.09 .05 0.53 .595
Hospital environment 0.17 0.09 .18 1.88 .063
R2 .54
Adj. R2 .46
F (p) 6.73 (<.001)
VIF 1.19∼8.60
Durbin-Watson 1.81

SE=standard error;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 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KR). 2020 Standard operation manual for integrated nursing and nursing service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0 [cited 2025 April 3]. Available from: https://lib.nhis.or.kr/search/catalog/view.do?bibctrlno=58139
  • 2. Kim J, Kim S, Park J, Park E, Jung S, Lee E. Adequacy of nurse staffing level in integrated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4):288-297.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4.288
  • 3. Kim JH, Jang HN. Effects of grit,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24;17(3):62-75. https://doi.org/10.34250/jkccn.2024.17.3.62
  • 4. Jin M, Ha Y. Influencing factors on hospital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tertiary hospital nurses and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7;42(4):361-370. https://doi.org/10.21032/jhis.2017.42.4.361
  • 5. Na HJ, Yoo SH, Kwon YR, Ahn MJ. The interrater agreement for the assessment of pressure ulcer risk using the Braden scale and the classification of pressure ulcers by nurses in a medium-sized hospit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0;32(1):35-45. https://doi.org/10.7475/kjan.2020.32.1.35
  • 6. Koo HM. On the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for patient safety event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10(240):46-59. http://dx.doi.org/10.23062/2016.10.5
  • 7. Park JY, Hwang JI. Relationships among non-nursing tasks, nursing care left undone, nurse outcomes and medical error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in small and medium-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21;51(1):27-39. https://doi.org/10.4040/jkan.20201
  • 8. Kim YE, Seo GH, Choi SH, Park SA.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Crisisonomy. 2020;16(4):33-44.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20.16.4.33
  • 9. Lee J, Oh JE, Lee WJ, Hur Y. A concept analysis of nurses’ grit. Crisisonomy. 2019;15(5):35-48.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9.15.5.35
  • 10. Park H, Lee K, Shin 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inical nurses grit scale (CN-GR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0;26(1):55-64.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1.55
  • 11. Munro CL, Hope AA. Grit makes us unstoppabl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9;28(5):334-336. https://doi.org/10.4037/ajcc2019871
  • 12. Im JA, Ko Y.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focusing on occupational stres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1;30(3):110-119. https://doi.org/10.5807/kjohn.2021.30.3.110
  • 13. Kang SY, Kwon HK, Cho MR. Effects of nurses'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at hospit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2):881-89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81
  • 14. Ham SY, Kim JW.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betwee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in internal communication channels in enterprise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2018;17(4):1-19. https://doi.org/10.9716/KITS.2018.17.4.001
  • 15. Jung KI.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working environment on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sian Oncology Nursing. 2019;19(4):233-241. https://doi.org/10.5388/aon.2019.19.4.233
  • 16. Park EJ, Han JY.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eam work o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activities on patient safety in general hospital employe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8;38(2):474-498.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474
  • 17. Yang HM. Effect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occupational stress on safety control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9;19(7):444-455.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444
  • 18. Lee IS. The influence of teamwork and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in tertiary hospital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22. p. 1-57.
  • 19. Oh D, Yi Y. Relationships among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kills, occupational stress, and patient safety activities of nursing workforce working in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22;27(3):15-25.
  • 20. Han SS, Sohn IS, Kim NE.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6):878-887. https://doi.org/10.4040/jkan.2009.39.6.878
  • 21. Han MY, Jung MS. Effect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127-138.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27
  • 22.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US). TeamSTEPPS pocket guide [Internet]. Bethesda, MD: AHRQ; 2023 [cited 2025 April 3]. Available from: https://www.ahrq.gov/teamstepps-program/resources/pocket-guide/index.html
  • 23. Hwang JI, Ahn J. Teamwork and clinical error reporting among nurs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2015;9(1):14-20. https://doi.org/10.1016/j.anr.2014.09.002
  • 24. Cha Y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sports organization members o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proactive behavior [dissertation]. Suwon: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p. 1-134.
  • 25.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US). AHRQ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version 2.0: user’s guide [Internet]. Rockville, MD: AHRQ; 2019 [cited 2025 April 3]. Available from: https://www.ahrq.gov/sops/surveys/hospital/index.html
  • 26. Kim J, Kang M, An KE, Sung YH.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169-179.
  • 27. Korea Public Data Porta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tegrated nursing and care service operating institutions statu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4 [cited 2025 Mar 9]. Available from: https://www.data.go.kr/data/15104803/fileData.do
  • 28. Noh S, Kim TI.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21;27(1):12-22. https://doi.org/10.22650/JKCNR.2021.27.1.12
  • 29. Nam JE, Kong SS. The impact of work-related factors of nurs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Health and Welfare. 2024;26(1):33-63. https://doi.org/10.23948/kshw.2024.03.26.1.33
  • 30. Park JH. Effects of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importance,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0;26(3):181-191.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3.181
  • 31. Yoon JW, Park YS. Communication typ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emergency room.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8;12(1):1-12.
  • 32. Lee D, Lee Y, Lee H, Jung S. Influence of teamwork, role conflict, and delegation preparedn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3;29(4):478-489. https://doi.org/10.11111/jkana.2023.29.4.478
  • 33. Nowrouzi-Kia B, Fox MT, Sidani S, Dahlke S, Tregunno D. The comparison of role conflict among registered nurses and registered practical nurses working in acute care hospitals in Ontario Canada.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21;54(2):112-120. https://doi.org/10.1177/08445621211014421
  • 34. Lee YM.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error experi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among emergency room nurses [master's thesis]. Incheon: Gachon University; 2018. p. 1-65.
  • 35. Lee DE, Lee BG. Association between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care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4;30(3):283-293. https://doi.org/10.11111/jkana.2024.30.3.283
  • 36. Kwak YH, Jang IS, Lee W, Baek SJ, Hyun SK, Kim SM. The effects of grit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tertiary hospitals on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23;29(2):163-174. https://doi.org/10.22650/JKCNR.2023.29.2.163
  • 37. Yang SH. The effects of GRIT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2023;11(2):93-108. https://doi.org/10.22716/sckt.2023.11.2.018
  • 38. Kim EJ, Kim SY. The influences of grit, patient safety culture and environment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on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2;22(11):820-830. https://doi.org/10.5392/JKCA.2022.22.11.820
  • 39. Lee YS, Lee JY, Lee KT. Amounts of responding times and unreliable responses at online surveys. Survey Research. 2008;9(2):51-83.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Include:

      Impact of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J Korean Acad Nurs Adm. 2025;31(3):237-248.   Published online June 30, 2025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Impact of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J Korean Acad Nurs Adm. 2025;31(3):237-248.   Published online June 30, 2025
      Close
      Impact of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Impact of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Units
      Variable Category M±SD or n (%)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M±SD t/F/r (p), Scheffѐ
      Age (yr) 31.54±5.0 -0.08 (.378)
      Religion Yes 48 (35.8) 4.40±0.51 1.44 (.154)
      No 86 (64.2) 4.25±0.57
      Education Diploma 27 (20.1) 4.42±0.62 1.11 (.334)
      Bachelor’s degree 102 (76.1) 4.27±0.53
      ≥Master’s degree 5 (3.7) 4.48±0.52
      Marital status Single 95 (70.9) 4.28±0.58 -0.80 (.428)
      Married 39 (29.1) 4.36±0.49
      Patient load (person) 16.52±7.8 -0.03 (.716)
      Hospital type General 93 (69.4) 4.32±0.57 0.43 (.669)
      Specialized 41 (30.6) 4.27±0.52
      Hospital size (bed) <200 35 (26.1) 4.10±0.58 -2.63 (.010)
      ≥200 99 (73.9) 4.38±0.53
      Unit size (bed) <40 58 (43.3) 4.26±0.49 -0.74 (.446)
      ≥40 76 (56.7) 4.34±0.60
      Care delivery system Functional Nursing 43 (32.1) 4.21±0.56 0.87 (.420)
      Team Nursing 82 (61.2) 4.35±0.57
      Other 9 (6.7) 4.32±0.32
      Monthly income (10,000 won) <300 59 (44.0) 4.26±0.58 1.29 (.280)
      300∼400 73 (54.5) 4.33±0.53
      ≥400 2 (1.5) 4.86±0.20
      Total clinical experience (yr) 6.95±4.37 0.14 (.113)
      Experience of integrated care delivery system (yr) 3.04±1.88 0.10 (.244)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education Yes 122 (91.0) 4.36±0.52 4.20 (<.001)
      No 12 (9.0) 3.70±0.56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 Yes 105 (78.4) 4.36±0.49 2.40 (.018)
      No 29 (21.6) 4.09±0.72
      Variable Sum Item Min Max
      M±SD M±SD
      Grit 41.34±4.95 2.95±0.35 25 56
       Persistence to achieve long term goals 13.66±2.26 2.73±0.45 7 20
       The passion to become a nursing professional 15.52±1.79 3.10±0.36 10 20
       Patient oriented intrinsic motivation 12.15±1.88 3.04±0.47 7 16
      Teamwork 131.07±19.74 3.74±0.56 81 175
       Team structure 25.69±4.40 3.67±0.63 16 35
       Team leadership 24.81±5.50 3.54±0.79 9 35
       Situation monitoring 26.83±4.33 3.83±0.62 14 35
       Mutual support 26.49±4.33 3.78±0.62 14 35
       Team communication 27.25±4.36 3.89±0.62 14 35
      Organiza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77.43±16.77 3.37±0.73 30 115
       Upward communication 17.17±3.94 3.43±0.79 5 25
       Downward communication 20.87±4.99 3.48±0.83 6 30
       Horizontal communication 21.36±4.39 3.56±0.73 8 30
       Informal communication 18.03±5.33 3.00±0.89 6 30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138.15±17.60 3.29±0.41 82 190
       Work/unit environment 56.63±7.57 3.16±0.40 33 81
       Attitude of supervisor or manager 14.01±2.45 3.50±0.61 7 20
       Frequency of incidence report 11.84±2.21 3.95±0.74 5 15
       Communication process 20.39±3.62 3.40±0.60 12 30
       Hospital environment 35.28±6.53 3.21±0.60 13 54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137.77±17.67 4.31±0.55 74 160
       Accurate patient identification 17.37±2.60 4.34±0.65 11 20
       Communication 16.24±2.85 4.06±0.71 9 20
       Pre-procedural and preoperative patient safety activities 12.80±1.97 4.27±0.66 7 15
       Fall prevention 26.36±3.70 4.39±0.62 14 30
       Hand hygiene and infection prevention 22.33±3.03 4.47±0.61 11 25
       Fire safety and emergency management 8.10±1.51 4.05±0.76 4 10
       Medication 26.06±3.79 4.34±0.63 13 30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y management 8.51±1.41 4.25±0.70 4 10
      Category 1 1-1 1-2 1-3 2 2-1 2-2 2-3 2-4 2-5 3 3-1 3-2 3-3 3-4 4 4-1 4-2 4-3 4-4 4-5 5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r (p)
      1. Grit 1
       1-1. Persistence to achieve long term goals .86 (<.001) 1
       1-2. The passion to become a nursing professional .85 (<.001) .61 (<.001) 1
       1-3. Patient oriented intrinsic motivation .80 (<.001) .48 (<.001) .55 (<.001) 1
      2. Teamwork .58 (<.001) .53 (<.001) .55 (<.001) .37 (<.001) 1
       2-1. Team structure .58 (<.001) .55 (<.001) .52 (<.001) .36 (<.001) .86 (<.001) 1
       2-2. Team leadership .53 (<.001) .53 (<.001) .44 (<.001) .35 (<.001) .85 (<.001) .77 (<.001) 1
       2-3. Situation monitoring .52 (<.001) .43 (<.001) .54 (<.001) .33 (<.001) .89 (<.001) .70 (<.001) .67 (<.001) 1
       2-4. Mutual support .37 (<.001) .36 (<.001) .38 (<.001) .20 (.022) .84 (<.001) .61 (<.001) .57 (<.001) .71 (<.001) 1
       2-5. Team communication .50 (<.001) .39 (<.001) .50 (<.001) .37 (<.001) .87 (<.001) .61 (<.001) .59 (<.001) .79 (<.001) .79 (<.001) 1
      3. Organiza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42(<.001) .46 (<.001) .30 (.001) .28 (.001) .79 (<.001) .66 (<.001) .79 (<.001) .65 (<.001) .62 (<.001) .65 (<.001) 1
       3-1. Upward communication .39 (<.001) .41 (<.001) .30 (.001) .26 (.003) .78 (<.001) .67 (<.001) .76 (<.001) .62 (<.001) .65 (<.001) .64 (<.001) .92 (<.001) 1
       3-2. Downward communication .46 (<.001) .46 (<.001) .31 (<.001) .37 (<.001) .78 (<.001) .68 (<.001) .78 (<.001) .64 (<.001) .59 (<.001) .65 (<.001) .94 (<.001) .86 (<.001) 1
       3-3. Horizontal communication .43 (<.001) .45 (<.001) .34 (<.001) .27 (.002) .76 (<.001) .61 (<.001) .74 (<.001) .64 (<.001) .62 (<.001) .66 (<.001) .91 (<.001) .83 (<.001) .88 (<.001) 1
       3-4. Informal communication .25 (.003) .33 (<.001) .14 (.096) .13 (.134) .55 (<.001) .44 (<.001) .59 (<.001) .47 (<.001) .43 (<.001) .43 (<.001) .83 (<.001) .66 (<.001) .68 (<.001) .62 (<.001) 1
      4.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49 (<.001) .50 (<.001) .46 (<.001) .26 (.003) .66 (<.001) .59 (<.001) .66 (<.001) .53 (<.001) .46 (<.001) .58 (<.001) .67 (<.001) .63 (<.001) .65 (<.001) .71 (<.001) .47 (<.001) 1
       4-1. Work/unit environment .43 (<.001) .45 (<.001) .41 (<.001) .21 (.015) .55 (<.001) .51 (<.001) .53 (<.001) .42 (<.001) .42 (<.001) .49 (<.001) .54 (<.001) .50 (<.001) .51 (<.001) .61 (<.001) .35 (<.001) .90 (<.001) 1
       4-2. Attitude of supervisor/manager .45 (<.001) .39 (<.001) .43 (<.001) .31 (<.001) .63 (<.001) .56 (<.001) .65 (<.001) .52 (<.001) .40 (<.001) .55 (<.001) .59 (<.001) .59 (<.001) .62 (<.001) .63 (<.001) .32 (<.001) .76 (<.001) .67 (<.001) 1
       4-3. Frequency of incidence report .16 (.071) .11 (.220) .15 (.080) .14 (.108) .23 (.007) .05 (.579) .19 (.025) .27 (.002) .20 (.022) .30 (<.001) .21 (.014) .15 (.081) .20 (.018) .24 (.006) .17 (.052) .32 (<.001) .17 (.051) .17 (.048) 1
       4-4. Communication process .35 (<.001) .37 (<.001) .33 (<.001) .14 (.102) .55 (<.001) .43 (<.001) .54 (<.001) .43 (<.001) .42 (<.001) .51 (<.001) .62 (<.001) .58 (<.001) .53 (<.001) .63 (<.001) .50 (<.001) .72 (<.001) .55 (<.001) .49 (<.001) .25 (.004) 1
       4-5. Hospital environment .42 (<.001) .45 (<.001) .37 (<.001) .21 (.015) .51 (<.001) .52 (<.001) .54 (<.001) .41 (<.001) .30 (<.001) .40 (<.001) .55 (<.001) .51 (<.001) .56 (<.001) .53 (<.001) .39 (<.001) .85 (<.001) .67 (<.001) .56 (<.001) .13 (.149) .46 (<.001) 1 (<.001)
      5.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43 (<.001) .34 (<.001) .48 (<.001) .28 (.001) .51 (<.001) .38 (<.001) .33 (<.001) .51 (<.001) .43 (<.001) .59 (<.001) .34 (<.001) .33 (<.001) .37 (<.001) .39(<.001) .18 (.043) .47 (<.001) .35 (<.001) .43 (<.001) .39 (<.001) .33 (<.001) .38 (<.001) 1
      Variable Category B SE β t p
      Hospital capacity <200 (ref.) 0.12 0.09 .1 1.40 .165
      ≥200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No (ref.) 0.33 0.14 .17 2.40 .018
      Yes
      Patient safety incident experience No (ref.) 0.10 0.09 .07 1.05 .294
      Yes
      Grit Persistence to achieve long term goals 0.05 0.11 .04 0.41 .680
      The passion to become a nursing professional 0.27 0.16 .17 1.68 .096
      Patient oriented intrinsic motivation -0.08 0.10 -.06 -0.75 .456
      Teamwork Team structure 0.03 0.11 .03 0.24 .809
      Team leadership 0.20 0.09 .29 2.13 .035
      Situation monitoring 0.08 0.12 .09 0.67 .502
      Mutual support -0.01 0.11 -.01 -0.09 .928
      Team communication 0.28 0.13 .31 2.17 .032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Upward communication -0.05 0.11 -.06 -0.43 .670
      Downward communication 0.06 0.12 .09 0.49 .628
      Horizontal communication 0.03 0.12 .04 0.22 .829
      Informal communication -0.01 0.06 -.02 -0.20 .838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ork/unit environment -0.14 0.16 -.10 -0.93 .356
      Attitude of supervisor/manager 0.12 0.10 .14 1.27 .206
      Frequency of incidence report 0.18 0.05 .24 3.31 .001
      Communication process 0.05 0.09 .05 0.53 .595
      Hospital environment 0.17 0.09 .18 1.88 .063
      R2 .54
      Adj. R2 .46
      F (p) 6.73 (<.001)
      VIF 1.19∼8.60
      Durbin-Watson 1.81
      Table 1.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Nurses (N=134)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of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134)

      M=mean; SD=standard deviation.

      Table 3. Correlation among Grit, Teamwork,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134)

      Table 4.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134)

      SE=standard error;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TOP